이혜숙의 인재법칙

우리가 살고 있는 초경쟁시대는 더 이상 품질만 좋다고 저절로 팔리는 세상이 아니다. 상품이나 서비스를 보고 “와우!”하는 감탄사가 저절로 튀어 나올 수 있을 정도로 뭔가 남다른 차별화 포인트가 있어야만 한다. 그 차별화 포인트를 만들어 내는 것이 ‘창조’이다. 또한 창조를 만들어 내는 주체는 언제나 사람이므로 창조의 중요성이 강조될수록 창의적인 인재 역시 중요시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창의적인 인재가 되기 위해 따져봐야 할 몇 가지 오해와 진실을 짚어본다. 정답이 아니면 실패다? 아니다, 정답은 하나가 아니기 때문이다 19세기 중반 많은 사람들이 너도나도 금광이 발견됐다는 미국 캘리포니아로 몰려들었다. 이른바 골드러시였다. 17세 청년 아무르도부자가 되겠다는 꿈에 부풀어 금광 찾는 일에 매달렸다. 하지만 금맥은커녕 금 부스러기도 구경하지 못한 채 지쳐갔다. 그러던 어느 날, 아무르는바닥에 떨어진 빈 물통을 보며 ‘아, 물이라도 쉽게 마실 수 있었으면 좋겠다!’하고 생각했다. 바로 그 순간 그에게 좋은 생각이 떠올랐다. ‘금맥이 아니라 수맥을 찾자!’ 이후 아무르는 금맥을 찾을 때 사용하던 도구를 이용해 강에서부터 물길을 만들었다. 그는 그 길로 끌어 온 물을 여과해 식수로 만들어 병에 담아 산에 짊어지고 올라가 팔기 시작했다. 그의 예상은 적중하여 물을 사는 사람은 갈수록 늘어 골드러시가 끝날 무렵 그는 백만장자가 되었다. 금광을 찾는 것만이 정답이 아니라는 것이다. 세상에는 정해진 정답이 없고, 있다고 해도 답은 하나가 아니라는 수평적인 사고와 다양성을 인정하는 관점이 필요하다. 다른 분야 아이디어를 내 상황에 독창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창조이다 창의성이란 대단한 것이 아니다. 다른 분야의 아이디어를 내 분야의 방식과 융합하면 더 강력한 창조가 된다. 예전에 아이스크림을 팔던 사람이 아이스크림을 담아 팔던 컵이 떨어져 더 이상 아이스크림을팔 수 없게 되자, 옆에 있던 와플 가게에서 와플을 몇 개 가져와 거기에 아이스크림을 얹어 팔았다고 한다. 아이스크림을 팔기 위한 임시방편 조치였지만 사람들의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이것이 아이스크림콘의 시초다. 이렇듯 다른 분야의 아이디어를 내 분야에 적용하거나 서로 다른 두세 가지를 섞어 새롭게 창조해 내는 것은 가장 일반적인 창조의 공식이다. 그래서 창조적인 생산성을 올리기 위해서는 자신의 전문영역 이외의 다양한 분야의 트렌드 변화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상식수준의 지식과 정보습득에 부지런히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창조의 출발은 인간에 대한 애정이다 전화, 전기, 자동차 등 인간이 누리는 거의 모든 것들의 발명은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불편해 하는 것을 줄여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되었다. 이처럼 창조는 고객의 불편함과 어려움을 진심으로 공감하는 인간에 대한 애정과 배려가 밑바탕이 될 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인간에 대한 애정이 있으면 인간을 잘 관찰하게 되고, 잘 관찰하면 성공의 비밀인 창의적인 생각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게 된다. LG전자에서 중국에 수출하기 위한 세탁기를 개발할 때 중국사람들은 신종인플루엔자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빨래를 하기 전에 소독약을 뿌린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들의 불편함과 두려움을 줄여주기 위해서 중국 수출용 세탁기에는 세탁비누와 섬유 유연제 투입구 외에 소독약 투입구를 하나 더 추가하여 출시하게 되었고 이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창의적인 인재는 하루아침에 되는 것이 아니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골고루 영양소를 섭취하고 꾸준히 운동을 하는 것처럼 마찬가지로 창의적인 인재가 되기 위해서는 인간에 대한 진정성 있는 애정을 바탕으로 다양한 영역의 정보와 지식을 지속적으로 흡수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야 창조근육을 발달하는 것이다. 평상시 꾸준하게 창조근육을 키우면 창의적인 문제해결이 필요한 결정적인 순간에 큰 창조의 힘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유료회원전용기사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을 해주세요.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저작권자 © 월간 인재경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