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의 핵심은 사람이다. 따라서 정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관료제도가 매우 중요하다. 박근혜정부는 대한민국 관료제의 문제점과 관료들의 민낯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세월호 참사, 메르스 사태, 최순실 게이트 등은 권력에 휘둘리고 무능한 고위 공무원들과 정치에 휘둘리는 비합리적인 인사시스템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면서 국민들에게 ‘이게 나라냐’라는 참담함을 안겨주는 주요한 요인이었다. ‘관피아’ 와 ‘정피아’란 단어들을 모르는 국민들은 거의 없다.

원래 한국 사회에는 개발연대의 유산으로 ‘관료신화’가 있다. 이른바 공무원들은 박봉과 애국심에도 열심히 일하고 고시를 통과한 공무원은 유능하며 공익을 우선시하고 정치적으로 중립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에서 보면 관료제의 효율성은 정치적 민주주의 확대와 반비례한다. 사실 경제성장을 지향하는 독재체제가 관료들이 가장 일하기 좋은 환경이다. 대표적인 개발독재인 박정희정권에서는 민주주의의 부재 속에서 정치의 기능은 거의 없었고 행정관료의 전문성을 중시하여 민주적 결정보다 집행의 효율성을 강조하였다.

국가 주도의 경제개발계획은 전문 기술관료의 역할을 증대시키고 내각은 정책 결정과 집행의 실제 권력을 장악하였다. 더구나 박정희 시대에는 관료 들이 유착할 수 있는 이익집단이 상대적으로 적었고 빈곤국가에서 관료라는 자리 자체가 특혜였다. 개발독재가 급속한 경제성장이라는 성과를 거두면서 관료조직의 효율성과 공공성에 대한 국민의 믿음과 관료신화가 탄생하였다.

한국의 관료들이 개발연대의 경제성장에 기여한 것은 사실이다. 또한, 유능한 관료들이 정치적 변동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의 안정성과 지속성을 보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거대해진 관료집단은 관피아 문제나 칸막이 부처행정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나듯이 공적 이익의 극대화보다 집단의 이해를 우선시하고 있다. 공무원의 정치적 입장은 승진과 성과 평가를 좌우하는 상급자나 권력자의 입장과 일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오늘날 관료사회는 고위관료의 정치화와 기회주의, 잦은 장관교체로 인한 복지부동, 관료들의 무소신과 전문성 저하, 정치인과 행정관료 모두 책임지지 않는 무책임한 포퓰리즘 정 책 양산, 단기적·즉흥적 부처 간 모순적 정책 남발 등으로 인해 비판 받기도 한다.

유료회원전용기사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을 해주세요.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저작권자 © 월간 인재경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