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가 끝났다고 하거나 앞으로 시들해질 것이라고 보는 건 대부분 국내적 시각이다. 한류는 일시적 유행이 절대 아니다. 당장 멕시코를 보자. 5년여 전부터 멕시코에도 한류 바람이 불어 한류 팬클럽 가입자 수가 350만 명이나 된다. 멕시코 양궁대표팀 감독을 지낸 이웅 씨가 10월께 론칭하는 ‘구스티비(Goods TV)’는 중남미에 처음 소개되는 스페인어를 기반에 둔 한류 플랫폼이다. K팝, 드라마, 예능 등 콘텐츠는 물론 화장품, 의류, 액세서리 등도 판다. 중국보다 더 클 것으로 기대되는 중남미에 한류 시장이 열리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커머스(Commerce)가 결합된 것이 눈에 띈다.

산업혁명과 닮은 폭발적 성장

20여 년 전 일본과 중국에서 한류가 ‘갑자기’ 유행할 때만 해도 우리는 별 준비가 없었다. ‘겨울연가’의 일본 팬들이 남이섬을 찾을 때도, 유커(중국 관광객)들이 명동으로 몰려올 때도 그저 신기해할 뿐이었다. 그래선지 세계한류학회가 만들어져 몇 해째 국제대회를 열고 있는 지금도 한류에서 비즈니스 기회를 찾는 이들은 특정 업종 사람들 뿐이다.

한류가 뜨게 된 것은 절대 우연이 아니다.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한류의 태생에는 ‘산업혁명적’ 요소가 있다는 점이다. 18세기 영국에서 일어난 1차 산업혁명과 20세기 말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벌어진 정보 혁명의 공통점은 바로 돈과 사람이 한꺼번에 몰렸다는 것이다. 돈이 쌓이니 사람이 모이고, 사람이 모이니 발명품과 생산품이 넘치고 세계를 주도하는 지역으로 급성장하게 됐다.

유료회원전용기사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을 해주세요.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저작권자 © 월간 인재경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