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으로 바위 치기 같다. 사회주의는 여간해서 깨지지 않는다. 사회 주의 공산권이 무너진 지가 오래지만 사촌쯤 되는 평등주의, 복지주 의의 위세는 날로 더해간다. 세상의 온갖 불평등을 대중의 힘으로 바로잡겠다는 ‘낭만적’ 아젠다는 너무 잘 먹힌다. 사회주의적이어야 지식인 대우를 받는 세태도 그렇다. 정치인들이야 말할 것도 없다.

사회주의 맞선 자유주의의 본산

70년 전에도 꼭 그랬다. 전체주의의 망령이 일으킨 2차대전이 끝난 뒤에도 전체주의의 일종인 사회주의는 오히려 더 큰 힘을 내고 있었 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1974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는 1947년 4 월 2일 스위스의 작은 도시 몽펠르랭으로 자유주의자들을 초청했다.

39명이 모였다. 오스트리아학파의 석학 루트비히 폰 미제스, 나중에 자유주의 경제학의 최고봉이 되는 밀턴 프리드먼(1976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현대 과학철학의 태두 칼 포퍼 등이 참석했다. 당시 이들이 창립한 학회가 몽펠르랭소사이어티(MPS: Mont Pelerin Society) 다. 이들은 “문명의 중심가치가 위기에 빠지고 모든 것을 부정하는 역사관이 넘쳐나며 법의 질서가 붕괴됐다.”고 개탄했다. 이들은 약탈적인 사회주의로부터 ‘생각과 표현의 자유’, ‘사유재산권’과 ‘경쟁적 시장’ 등의 가치를 지키겠다고 다짐했다.

유료회원전용기사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을 해주세요.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저작권자 © 월간 인재경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