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한해 우리나라 기업들이 조직문화 차원에서 가장 많이 고민한 과제를 들라면 단연 업무몰입과 업무 생산성이라고 할 수 있다. 노동시간 단축법이 많은 사회적 논란 속에서도 지난 7월 시행되었고 최장 근로 52시간은 빠른 시일 내 법적 구속력을 갖춘 현실이 될 것이다. 단순하게 말하면 법적으로 구성원의 근로시간이 주당 52시간을 넘길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구성원이 정규 근무시간 이상을 근무할 경우 기업의 비용적인 부담 또한 크게 상승하게 됨을 의미한다.

지난 몇 년 동안 다수 기업이 ‘출근이 기다려지는 회사’이니 ‘일과 삶의 균형’이니 하는 이름으로 구성원들의 삶의 배려하고 업무효율 성을 높이자는 관점에서 정시 퇴근할 수 있는 조직 환경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했고, 나름 변화를 이끌어낸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제 법적으로나 비용적인 측면에서 반드시 근무시간을 단축할 수밖에 없는 현실적인 압박이 생긴 것이다. 기업 관점에서 근무 시간의 단축은 비용을 줄이고 구성원들의 업무 몰입도를 높일 수있는 좋은 변화이지만 그렇다고 줄어든 시간만큼 일이나 성과를 줄일 수는 없는 일이다. 절대적인 투입변수인 업무시간은 줄어드는데 산출변수인 일의 성과는 높이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 유지는 해야 한다면 결국 생산성만이 그 해답이 된다.

물론, 노동시간단축법의 시행 때문에 생산성을 고민해야 한다는 것은 지극히 소극적인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생산현장에서나 다루 어야 할 것 같은 생산성이라는 개념을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이라는 관점에서 고민해야 되는 이유는 사실상 다른 곳에 있다. 과거 산업시대에 남들보다 더 열심히 성실하게 일하는 것이 경쟁력이 되었 고, 정보화시대에는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일하는 것이 경쟁력이 되었다면, 지금은 진정한 몰입을 통해 일할 때만이 경쟁력 있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조직문화 관점에서 생산성을 높이는 방안

유료회원전용기사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을 해주세요.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저작권자 © 월간 인재경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