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의 영향으로 재택근무를 시행하는 기업이 급속도로 증가하기 시작했다. 코로나가 한창 기승을 부리던 초기에만 하더라도 국내 거의 모든 대기업은 재택으로의 전환을 서둘러 진행했다. 그러던 것이 코로나 여파가 어느 정도 진정국면에 접어든 시점부터는 상당수의 회사가 사무실로의 출근에 다시 시동을 걸기 시작했고 지금은 거의 모두가 재택근무보다는 현장근무를 실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확실히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서 재택근무는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아가고 있음이 분명하다. 일하는 방식의 다양한 선택지 중에서 기업들이 가장 선호하는 베스트에 들어간 것이다. 이유는 간단하 다. 코로나 사태의 영향으로 어쩔 수 없이 재택을 시행하게 되었는데 업무성과에 대한 결과는 아무런 차이가 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회사로의 출근이나 집으로의 출근이나 결과만 놓고 본다면 별 차이가 없었던 것이다. 아니 오히려 집으로의 출근에서 생산성이 훨씬 높게 나온 조직도 많았다. 이런 결과를 통해서 많은 기업들은 “간접 비도 많이 나오는데 구태여 회사로의 출근을 고집할 필요가 있나?”는 생각을 갖기에 이른다. 이런 의구심은 코로나와는 별도로 재택 근무의 확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나는 여기서 반론의 메시지 하나를 보내고자 한다. ‘재택효용 체감의 법칙’이다.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을 패러디해서 만들어본 용어라 해석은 간단하다.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이란, 모두가 알다시피 하나의 재화에 대한 소비를 통해 얻어지는 만족도는 어느 수준까지는 증가하지만 일정수준에 이르렀을 때 감소하는 법칙을 일컫는다. 마찬가지로 ‘재택효용 체감의 법칙’이란, 재택근무를 통해서 얻어지는 성과도 일정기간은 늘어나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하락하게 된다는 가설을 담고 있다. 물론 모든 업종이나 직종이 적용 되는 건 아니다. 또한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주장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렇게 생각하는 데는 나름의 이유가 있는데,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는 지극히 단순하면서도 원초적 이유에서 기인한다.

기본적으로 인간은 외로움과 고독함을 못 견뎌 하는 원초적 본능을 안고 있는 동물이다. 모순된 이야기지만, 인간은 어느 일정기간은 이런 외로움과 고독함을 즐기고 싶어하는 욕구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런 고독과 외로움이 지나치게 장기화될 경우 긍정적 효과보다는 부정적 효과가 더 많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혼자’라는 상황보다는 ‘우리’라는 상황에서 인간은 더 많은 에너지와 동기부여를 느끼게 된다. 특히 동기부여 측면에서도 ‘혼자’라는 상황설정은 동기감소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우리’라는 상황설정은 동기증가로 이어지는 경향이 크다. 이 주장을 증명하기 위하여 몇 가지 근거자료를 소개해 보고자 한다. 하나는 내가 설문조사를 통해 입증한 ‘친한사람효과’이고 또 하나는 미국 스탠퍼드 대학의 왈튼 교수 연구팀의 ‘유럽지도 그리기’ 실험이다.

우선 ‘조직 내 인간관계는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평소의 생각을 입증한 설문조사 결과 하나를 소개한다. 조사의 목적은 “조직 내 마음이 맞는 동료의 존재여부가 일하는 사람의 심리에 어떤 변화를 주는지”를 알고자 함이었다. 설문을 기획하게 된 동기는 ‘근무조건은 좋아도 삭막한 조직 vs. 근무조건은 열악하지만 재미있는 조직’이라는 비교를 통해서 어느 쪽이 성과창출에 더 유리한지를 알아보기 위함이 목적이었다. 아래의 데이터는 위의 가설을 확인하기 위한 설문 중에서 ‘친한 사람의 존재여부’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만을 따로 떼어내어 정리한 설문 결과이다.

유료회원전용기사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을 해주세요.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저작권자 © 월간 인재경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