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님, 어머님은 어떤 직업에 종사하고 계십니까?”  만약 지금 이런 질문을 면접에 임하는 지원자에게 한다면 어떻게 될까? 유감스럽게도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과태료 300만원이 부과될 수 있다. ‘채용절차법’ 개정안이 발효된 이후, 기업의 인사와 면접관들은 주의해야 할 일이 늘었다. 더욱이 과태료 수준이 아닌 징역형 처벌이 가능한 일명 ‘공정채용법(가칭)’ 입법이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이다. 합리적이고 당연한 이야기다. 함께 일할 지원자의 직무적합성을 확인하면 될 일이지, 대체 부모의 직업이 향후 지원자의 직무수행능력과 무슨 상관이 있단 말인가? 하지만 그다지 멀지 않은 과거에, 이렇듯 직무와 상관없는 질문이 성행했던 것이 사실이다. 지금도 제대로 교육받지 않은 면접관은 과거의 관성에 사로잡혀 이런 질문을 답습하여 빈축을 사고 있다. 과거에는 대체 왜 이런 것을 물어봤을까? 그리고 현재의 ‘직무중심 인사’ 이전까지 이루어져 왔던 우리 기업 고유의 ‘사람 중심의 인사’는 터무니없는 것이었을까?

모든 범죄의 뒤에는 부모가 있다? 필자 회사 전문가 POOL에 기업의 채용 평가관으로 활동하는 A 교수님이 있다. 이분은 TV 방송에서도 자주 뵐 수 있는 저명한 프로파일러인데, 종종 사람을 판단하는 기준에 대해 필자와 이야기를 나누곤 한다. 그중에서도 인상적이었던 것은 모든 범죄자의 뒤에는 가족, 그중에서도 부모의 영향이 크다는 이야기였다. 사회적으로 이슈가 된 범죄자들은 대개 불우한 가정환경 속에서 자란 경우가 많았고, 그들의 부모 역시 정상적이지 않은 환경에 있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그러고 보니 최근 유명 스포츠 선수와 관련되어서 세간에 화제가 되었던 사기 혐의자 역시 아버지가 같은 혐의로 지명 수배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그래서 A 교수님은 자제분과 결혼할 예비 며느리의 인사를 받을 때 본인보다는 부모가 어떤 분들인지에 대해 더 관심을 가졌다고 했다. 그때 필자가 “그건 채용절차법 위배 아닌가요?” 농담을 하며 함께 웃었던 기억이 있다. 진지하게 생각해 보면, 한 사람의 인격 형성에 그만큼 부모가 깊이 관여하고 있다는 것은 이치에 닿는다. 부모는 자식의 거울이라는 말도 있듯이 부모의 생활, 습관과 언어, 행동은 자녀의 성격과 행동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그렇게 부모로부터 받은 영향은 하루 중 가장 오래 시간을 보내는 직장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삼성의 관상면접, 그리고 옛날 면접의 의외의 타당성 삼성그룹의 창업주가 채용면접에서 관상가를 옆에 두고 활용했다는 이야기는 다들 잘 알 것이다. 필자가 인사업무를 처음 배우던 신입사원 시절, 과거 삼성에서 인사담당 임원으로 오래 계셨던 분에게 이 이야기의 진위에 대해 물어본 적이 있는데, 그분은 “잘 모르겠다”며 확인을 해 주시지는 않았다. 그렇지만 나중에 더 흥미로운 이야기를 듣게 되었는데, 삼성의 인사에서 전국의 명망 있는 관상가, 점쟁이들에게 실제 재직하고 있는 직원들의 사진과 인적사항을 들고 가서 검증을 한 후 타당도를 조사했는데, 관상과 실제 입사 후 업무능력과는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고 했다. 채용 실무를 담당했던 과장 시절, 이 이야기에서 인사이트를 얻어 당시 재직했던 회사의 임원면접 결과의 타당성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당시의 임원면접 질문은 그야말로 “아버님 뭐 하시고?” 수준이었다. 또한 임원들의 채용면접에서의 자세 역시 개선의 여지가 많았기 때문에, 검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참에 임원면접 교육을 강화하려 속셈이었다. 그런데 놀랍게도, 입사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신입사원들에 대한 팀 내부 평가와 임원들이 이러한 ‘전통적인 질문’을 통해 평가한 평가 등급 사이에는 분명 상관관계가 있었다. 당시 질문의 스타일은 현재의 구조화된 면접 질문과 달리 매우 옛날 스타일이었지만, 임원분들의 사람을 판단하고 평가하는 눈은 상당히 정확했던 것이다. 한편 ‘부모의 직업과 범죄’ 사례처럼 어설퍼 보이는 질문에도 나름 깊은 뜻이 있는 경우도 있었다.

직무연관성 외 인성, 태도, 조직적합성 중요 컨설팅하고 있는 고객사를 방문해 현장직원들 대상으로 SME 인터뷰를 하거나 설문을 통해 바람직한 인재의 요건을 확인하다 보면 놀랍게도 직무 지식, 기술을 요구하는 곳은 찾아볼 수 없다. 지금의 채용 트렌드가 직무적합도를 가장 최우선으로 지향하는 것과는 꽤 거리가 있는 결과다. 비단 연차가 오래된 경영진이나 고위직만 그런 것이 아니다. 입사한 지 2~3년밖에 안 되는 젊은 직원들조차 ‘일단 사람이 되어야 한다’, ‘조직융화가 가장 중요하다’ 등을 강조한다. 전통적인 개념의 KSA(Knowledge, Skill, Ability) 중 A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최근 대기업 B의 채용제도 개선을 위한 컨설팅 과정 중 전년도 입사한 신입사원들을 데리고 일을 하는 중간관리자 7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한 적이 있다. ‘우리회사나 부서에 보다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채용제도 운영상 개선/강화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이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52.8%가 ‘신입직원의 공동체 인식, 인성평가 강화’라고 답했다. 현장실무능력이 뛰어난 인재(17.2%), 직무관련 사회경험과 경력 보유(8.7%), 전문자격 평가강화(6.3%) 등과 비교했을 때 압도적인 차이를 보였다. 아직도 우리나라 기업의 현장 직원들은 과거의 패러다임에 빠져 있는 것일까?

유료회원전용기사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을 해주세요. (유료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저작권자 © 월간 인재경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